본문 바로가기

경제

엔화가치 하락, 미국 금리인상의 긍정적인 측면 엔화의 하락은 관료들에게 경각심을 부여하고 있다. 8월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애널리스트들은 들뜬 마음으로 추가적인 엔화 약세에 대한 한계를 주장하였다. 실제로, 지난 7월 중반 엔화는 달러화 대비 강한 저항을 증명했고, 이에 몇몇 애널리스트들은 연말 ¥130/$을 주장키도 하였는데 이러한 전망은 지난 여름사이 Fed와 BOJ간의 정책적 괴리가 미묘하게(subtly) 변한데 기반했으며, 일례로 Nomura 증권에서는 1) 미국 및 글로벌 리세션에 대한 가능성이 리스크 시나리오에서 메인 시나리오로 격상된 점과, 2) 코모더티 가격의 하락이 일본의 무역 수지를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 3)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 리스크 저하를 근거로 USD/JPY 통화쌍의 피크를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주 엔화는 오히.. 더보기
[유럽경제]유럽 에너지 위기와 전쟁/ECB 금리인상 등 우크러이나 러시아 전쟁으로 러시아가 유럽의 제재에 대한 항의표시로 가즈프롬을 통한 천연가스 공급을 제한하자 유럽의 천연가스 가격은 1년 전 대비 거의 5배 상승했다. 한 경제전문가는 이를 분배(distribution)상의 쇼크, 교역 조건(terms of trade)에 대한 쇼크, 20%에 가까운 인플레이션을 동반한 전반적인 가격 쇼크, 그리고 GDP 수축에 대한 쇼크로 빚어진 결과물로 분석한다. 특히 이 중에서 특히 분배상의 쇼크가 중/저소득층의 실질 소득을 위협할 것이며, 일례로 영국은 향후 2년간 실질 소득이 근 100년래 최대로 하락한 시기를 경험할 것으로 경고하였다. 위와 같은 분배 이슈는 도덕적으로든 정치적으로나 용납될 수 없으며, 정부는 단호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분산포트폴리오 전략 주식 60 : 채권 40 전략의 유효성? 최척 투자방법에 관한 방법은 많은 것이 있다. 혹자는 좋은 종목을 찾기도 하고 혹자는 좋은 섹터 및 슈퍼사이클을 찾아 다니기도 하며 어떤 사람은 경기 순환 주기를 찾아 호황기 절정에서 주식을 미리 매도하고 침체기 이전까지 버티다 가장 저점 부근에서 주식을 매수하는게 최적 전략이라고 생각하며 이를 쫓는다. 하지만 내 생각에 이는 터무니 없이 어려운 방법이고 이를 실제로 달성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투자의 가장 좋은 방법은 워렌 버핏이 말한것처럼 손실을 보지 않는 것이다. 그러려면 포트폴리오 구성, 즉 자산 배분이 가장 중요하다. 마코위츠는 이와 관련하여 최적포트폴리오를 찾는 이론을 연구하기도 하였으며 이를 통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해리 맥스 마코위츠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더보기
장기 투자관점에서 에너지 가격의 중요성 More: The 10,000-Year Rise of the World Economy’의 저자가 장기 투자관점에서 에너지 가격이 핵심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2022년은 에너지의 충분한 공급 및 가격이 글로벌 경제 건전성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에너지 과잉이라는 얘기나 셰일가스, 대체연료, 친환경 에너지 등으로 장밋빛 에너지 수급을 전망했던 2020년대초와는 분위기가 너무나도 상반된다. 18세기 산업혁명이 일어난 것에는 여러 원인들이 있었으나, 필수전제는 인간 및 동물들의 노동력이 석탄으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19세기와 20세기 글로벌 경제는 석유 및 전기 도입으로 변화를 맞았는데 1945년 이후 유럽과 미국의 경제회복은 약 25년간 지속된 낮은 유가의 도움을 받았으며, 1970년 중.. 더보기
증권형 토큰 (STO)이란? NFT는 규제대상 여부? 증권형 토큰은 쉽게 설명하면 주식처럼 자산을 기반으로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말하고 있으며 결론만 말하면 NFT는 증권형 토큰으로 보지 않아 대체로 규제대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 역시 대체로 "NFT를 곧바로 증권으로 볼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금융위가 2022년 4월 배포한 '조각투자 등 신종증권 사업 관련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ㅇ 자본시장법상 증권은 ‘금융투자상품으로서 투자자가 취득과 동시에 지급한 금전등 외에 어떠한 명목으로든지 추가로 지급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 금융투자상품은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할 목적으로 현재 또는 장래의 특정 시점에 금전, 그 밖의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을 지급하기로 약정함으로써 취득하는 권리로서 그 권리를 취.. 더보기
기후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문제 많은 기후, 환경 전문가들은 가뭄, 홍수, 폭풍 등 자연재해가 기후변화로 인해 더 자주 그리고 더 심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전세계 생산 및 제조업, 식량 및 재화 분배에 미칠 영향은 매우 광범위하며 복잡한데 이와 관련하여 기업들의 첫번째 우려는 자신들 혹은 공급업체들의 공장들 중 어떤 곳들이 자연재해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는지일 것이다. 하지만 먼저 올해 나타난 가뭄은 글로벌 무역에 사용되는 수상 인프라가 기후변화가 심화되면서 가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유럽의 라인강의 물류가 그러하였고 아르헨티나의 파라나 강도 그러했는데 기온변화가 물류에 파급효과가 상당히 컸다. 예를 들어, 아르헨티나 농산물 수출의 대부분은 파라나 강을 거치는데, 파라나 강의 수위는 지난 수년간 감소하면서 아르.. 더보기
미국 경기 침체 전망의 헛점과 실질임금 하락 미국 경제 하락 전망은 생산량 및 생산성 축소가 해고 싸이클로 이어지면서 리세션이 시작될 것이란 전망에 기반한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한가지 큰 허점이 있는데, 그것은 기업들의 가격결정력이 생산성 약세를 상쇄하면서 기업들의 이익 및 이익 마진은 견조할 것이라는 점이다. 실제로는 올 상반기 미국 경제의 생산성은 급격히 축소되었으며 2분기 생산성은 전년 대비 -2.5% 감소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의 축소를 기록하였다. 반면 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는데 시간당 임금은 전년 대비 +6.7% 상승하였다. 이는 평균적인 노동자의 생산 규모는 줄었으나, 임금은 증가했음을 의미하고 이는 다른 말로 단위노동비용은 1982년 이후 최대 연간상승폭인 9.5% 증가를 기록했다는 것을 말한다. 앞서 말한것처럼 생산규모 감소 등.. 더보기
중국 국영기업 미국 주식시장 상장폐지(상폐), 미국 중립금리 도달? 얼마전 중국 국영기업들 중 5곳이 미국의 회계 감독권이 강제적으로 적용되는 2024년 이전에 자진하여 미국 주식시장으로부터 상장 폐지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금융 디커플링은 더욱 심화되고있다. 안그래도 후진적인 중국의 자본시장이 더욱더 폐쇄적이고 낙후된 상태로 있게 되지 않을까? 해당 계획을 발표한 중국 국영기업들에는 아시아 최대 석유 및 가스 생산기업인 PetroChina, 중국 최대 국영보험사들 중 하나인 China Life Insurance Company, 그 외에 Aluminium Coporation of China, Sinopec 및 Sinopec의 석유화학계열 자회사가 포함되어 있는데 전문가들은 해당 기업 주식들의 거래가 이미 대부분 중국 본토 및 홍콩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