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준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국 국영기업 미국 주식시장 상장폐지(상폐), 미국 중립금리 도달? 얼마전 중국 국영기업들 중 5곳이 미국의 회계 감독권이 강제적으로 적용되는 2024년 이전에 자진하여 미국 주식시장으로부터 상장 폐지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금융 디커플링은 더욱 심화되고있다. 안그래도 후진적인 중국의 자본시장이 더욱더 폐쇄적이고 낙후된 상태로 있게 되지 않을까? 해당 계획을 발표한 중국 국영기업들에는 아시아 최대 석유 및 가스 생산기업인 PetroChina, 중국 최대 국영보험사들 중 하나인 China Life Insurance Company, 그 외에 Aluminium Coporation of China, Sinopec 및 Sinopec의 석유화학계열 자회사가 포함되어 있는데 전문가들은 해당 기업 주식들의 거래가 이미 대부분 중국 본토 및 홍콩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더보기 미 달러 강세와 미국 기업 실적 미국 경제는 유래없는 금리 인상 속도로 인해 근 20년래 최고의 달러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달러 강세는 미국 기업들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줄까? 미국은 내수가 탄탄한 나라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수출비중이 높은 편이다. 이렇게 수출비중이 높은 경우 달러가 강세면 외국 통화로 벌어들인 돈을 자국통화인 달러로 환산할 경우 기업의 실적은 악화된 것으로 보이게 된다. 또한 기업입장에서도 외국에서 제품, 서비스에 대한 가격을 부과할때 환전시 더 낮은 달러로 환전되기 때문에 더 높은 가격으로 가격을 부과하여 수요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한국에서 매출 ₩1,300,000 발생시킨 경우 o 달러 약세 (1$ =1,000).. 더보기 22년 7월 미 연준 FOMC 대비 지난 6월 FOMC에서 이미 빅스텝을 넘어서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미 연준은 이번 7월 26~27 FOMC 회의에서도 또 75bp 인상을 예상할 것으로 필자 뿐 아니라 시장에서 예측하고 있다. 지난 13일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지수인 CPI는 예상치를 상회하며 일부 위원들에게서 100bp 인상에 대한 논의도 나왔었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은 하락하였기 때문에 금리 결정권을 가진 위원 다수는 75bp 인상이라는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치부했던 파월을 비롯한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가 일시적이지 않은 현상임을 깨닫고 급히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있어 현재 금융 시장은 상당히 긴축적인 기조로 돌아선 것으로 보이며 미국 1분기 GDP 마이너스 성장에 이어 2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 또는 ze..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