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세션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경기 침체 전망의 헛점과 실질임금 하락 미국 경제 하락 전망은 생산량 및 생산성 축소가 해고 싸이클로 이어지면서 리세션이 시작될 것이란 전망에 기반한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한가지 큰 허점이 있는데, 그것은 기업들의 가격결정력이 생산성 약세를 상쇄하면서 기업들의 이익 및 이익 마진은 견조할 것이라는 점이다. 실제로는 올 상반기 미국 경제의 생산성은 급격히 축소되었으며 2분기 생산성은 전년 대비 -2.5% 감소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의 축소를 기록하였다. 반면 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는데 시간당 임금은 전년 대비 +6.7% 상승하였다. 이는 평균적인 노동자의 생산 규모는 줄었으나, 임금은 증가했음을 의미하고 이는 다른 말로 단위노동비용은 1982년 이후 최대 연간상승폭인 9.5% 증가를 기록했다는 것을 말한다. 앞서 말한것처럼 생산규모 감소 등.. 더보기 Fed의 FOMC recap 및 연준으로 인한 경기침체 유발이 바람직한지? 한국시간으로 바로 오늘 새벽 FOMC 정책회의를 통해 Fed는 정책금리를 지난달에 이어 또다시 75bp 인상한 2.25-2.50%으로 결정하였는데 이번 금리인상으로 Fed는 1981년 이후 가장 공격적인 긴축싸이클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Fed는 올해 3월부터 금리인상을 시작했으며, 5월달에는 50bp, 6월달에는 1994년 이후 처음으로 75bp 인상을 시행. 이렇게 결정한 배경에는 역시 예상보다 강력한 인플레가 그 배경에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약 40년만에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올해 남은 기간동안 Fed는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나, 다음 9월 정책회의에서 금리인상 속도가 75bp를 유지할지, 아니면 50bp로 줄어들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갈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더보기 미국 경제는 연착륙이 가능할까? 현재 인플레이션이 70년대 인플레이션과 다른점이 무엇일까? 미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의 말대로 미국 경제는 과연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연착륙을 가능하게 할수 있을까? 의도치 않았겠지만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올해초 전세계인을 상대로 계속 거짓말을 하였다.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현상이고 곧 사라질 것이다" 공개석상에서 습관처럼 내뱉던 위 말과 달리 인플레이션은 장기간 지속되었고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 미연준을 포함한 세계 각국은 긴급하게 금리인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파월이 또 다시 거짓말을 하고 있는것이 아닌지 시장의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두 번째 거짓말은 바로 경기침체 없이 연착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연 경기침체 없는 연착륙이 가능할 것인지 아니면 또 다시 거짓말을 연속적으로 하.. 더보기 이전 1 다음